바이너리의 MACD
추세지표의 대표주자 MACD!
현재의 시세를 예측하는데 있어 1년 전의 데이터 중 무엇이 더 중요할 까요?
당연히 어제의 데이터가 훨씬 중요하죠!
이 같은 개념을 일반적인 이동평균선에 적용한 것이 바로
MACD (Moving Average Convergency & Divergency) 에요
MACD는 1979년 미국 뉴욕에서 제럴드 아펠이란 사람이 단기 이동평균선과
장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졌다가 다시 가까워지는 것을
반복한다는 점에서 착안해 이동 평균선의 잔점인 후행 성을 보완하고자 만든 기술적 지표에요!
일반적으로 장-단기 이동 평균선은 서로 수렴과 확산의 괒어을 지속하게 되는데,
이때 장 - 단기 이동 평균선이 가장 크게 벌어진 시점이
바로 시세의 전환점 일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이용해 매매 타이밍을
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MACD의 기본 원리인 거에요!
MACD공식
MACD는 'MACD'곡선과 "Signal'곡선이라는 두개의 이동 평균선을
이용해 매매 시점을 파악해야해요
먼저 , 'MACD'곡선은 가기 이동평균에서
장기 이동평균을 뺀 값을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며
주로 12일 (단기)과 26일(장기)이 기본 값으로 설정 되어 있어요
그리고 이 MACD의 9일 이동평균선 'Signal' 곡선이라고 해요
각각의 수치들은 사용자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
기본값인 12일과 26일을 사용해도 무방해요
MACD 곡선 : 단기 이동평균 - 장기 이동평균
Signal 곡선 : n일 동안의 MACD 이동평균
기본값 : 12일 (단기), 26일(장기), 9일(Signal)